맨위로가기

성상 파괴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상 파괴 운동은 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특정 상징물이나 조형물을 파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초기 우상 숭배 금지에서 시작하여 비잔틴 제국, 종교 개혁 시기를 거치며 성상 숭배 반대 운동이 일어났으며, 이슬람교에서도 형상 묘사를 금지하는 전통에 따라 성상 파괴가 나타났다. 정치적 목적의 성상 파괴는 고대 로마의 기록말살형, 프랑스 혁명, 러시아 혁명 등에서 체제 전복과 함께 발생했으며, 한국사에서도 불교 탄압, 개신교의 불상 훼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상 파괴 운동은 종교적 신념, 권력 투쟁, 사회 개혁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문화유산 파괴와 종교적 불관용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박해 - 크리스테로 전쟁
    1920년대 멕시코에서 발생한 크리스테로 전쟁은 멕시코 혁명 후 종교 갈등이 심화되어 일어난 내전으로, 가톨릭 신자들이 1917년 헌법의 반교권적 조항과 칼레스 대통령의 반교권 정책에 저항하며 1926년 시작되었고 1929년 종식되었으며, 종교와 국가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종교 박해 - 10·27 법난
    1980년 10월 27일 신군부가 불교계 정화를 명분으로 일으킨 10·27 법난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단이 전국 사찰을 수색하고 승려들을 강제 연행, 폭력과 고문을 자행한 전두환 신군부의 권력 남용 사건으로, 2007년 국가권력 남용사건으로 규정되었고 피해자 명예회복 특별법이 공포되었으나 불교계는 미흡함을 지적했다.
  • 기독교의 역사 - 디오클레티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군사, 행정, 경제 개혁을 단행하고 사두정치 체제를 도입하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최고가격령 실패와 기독교 박해라는 어두운 면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로마 제국의 전환점이자 후대 제국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의 역사 - 예수회
    예수회는 1534년 이냐시오 데 로욜라가 창립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도회로, 청빈, 순결, 순종을 서약하며 교육, 선교, 사회 정의, 인권 분야에서 활동한다.
  • 종교 개혁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종교 개혁 - 헨리 8세
    헨리 8세는 1509년부터 1547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여섯 번의 결혼, 잉글랜드 종교 개혁, 그리고 왕권 강화가 특징이며, 그의 통치 이후 세 명의 자녀가 왕위를 이었으나 튜더 왕조는 단절되었다.
성상 파괴 운동
기본 정보
용어
어원그리스어 'εἰκών'(에이콘, 이미지)과 'κλάω'(클라오, 부수다)의 합성어인 'εἰκονοκλασία'(에이코노클라시아, 이미지 파괴)에서 유래
관련 용어성상 파괴자 (Iconoclast)
개요
정의종교적인 이미지나 상징물을 파괴하거나 거부하는 행위
반대 개념성상 숭배 (Iconodulism)
주요 동기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이유
역사
기원고대부터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발생
비유대교고대 이집트의 아케나텐 시대, 유대교의 일부 종파
기독교8세기와 9세기 비잔티움 제국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전개
종교개혁16세기 종교개혁 시기 개신교에서 발생
현대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에 의한 문화유산 파괴
기독교에서의 성상 파괴 운동
비잔티움 제국8세기 초부터 9세기 중반까지 두 차례에 걸쳐 발생
원인성상 숭배에 대한 신학적 논쟁, 황제의 권력 강화 시도, 군사적 위기
주요 인물레오 3세
콘스탄티누스 5세
테오도라
결과제국의 정치적, 사회적 분열, 동서 교회 간의 갈등 심화, 성상 숭배의 최종 승리
종교개혁 시기의 성상 파괴 운동
배경16세기 종교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울리히 츠빙글리 등의 종교개혁가들이 성상 숭배를 비판
발생 지역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등 유럽 각지에서 발생
특징교회 내부의 성상, 조각상, 그림 등을 파괴하거나 제거
영향개신교 교회 내부의 장식 감소, 예배 방식의 변화
이슬람에서의 성상 파괴 운동
배경이슬람에서는 신의 형상을 묘사하는 것을 금지
발생 시기초기 이슬람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생
주요 사례탈레반의 바미얀 석불 파괴 (2001년)
ISIL의 문화유산 파괴 (2014년 이후)
다양한 관점
옹호론우상 숭배를 막고, 종교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행위
비판론종교적 자유를 침해하고,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행위
같이 보기
관련 항목우상 파괴
신성 모독
검열
표현의 자유
문화재
바미얀 석불
알라트
종교 박해
외부 링크

2. 기독교의 성상 파괴 운동

기독교의 형상 혐오에 대한 산발적인 표현들이 보고되었다. 엘비라 시노드는 성상 파괴 운동을 지지하는 듯했으며, 36조는 "예배와 숭배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교회에 그림을 두지 말라"고 명시했다.[9][10] 그러나 기독교 미술의 광범위한 사용은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4세기 기독교가 기독교 공인된 후 기독교가 이방인들 사이에서 점점 더 널리 퍼지면서 시작되었다.

기독교에서 유명한 성상 파괴 운동에는 동로마 제국에서의 성상 파괴 운동과 종교 개혁 당시 서유럽에서 일어난 비덴스투름(그림 폭풍)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성상 파괴 운동이라고 하면 동로마 제국에서 8세기부터 9세기에 걸쳐 행해진 것을 특히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155]

2. 1. 초기 기독교

초기 기독교에서는 우상 숭배를 금지하는 구약성서의 가르침에 따라 성상 제작과 숭배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했다. 엘비라 시노드(306년경)에서는 "예배와 숭배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교회에 그림을 두지 말라"는 결의가 채택되기도 했다.[9][10]

성 베네딕토 수도회 수도사들이 로마 제국에서 숭배되던 아폴로의 이미지를 파괴하는 모습


기독교 미술의 광범위한 사용은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4세기 기독교가 기독교 공인된 후(서기 312년경) 기독교가 이방인들 사이에서 점점 더 널리 퍼지면서 시작되었다.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콘스탄티누스 대전환 과정에서 기독교 집단은 로마 제국다신교 국가 종교를 표현하는 이미지와 조각상을 파괴했다.

초기 교회 신학자 중에서는 테르툴리아누스,[13][14][15]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14] 오리게네스,[16][15] 락탄티우스,[17] 순교자 유스티누스,[15] 유세비우스와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성상 파괴적 경향을 지지했다.[14][18]

2. 2. 비잔틴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 (1차)

726년 시리아 출신의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온 3세는 성상(Icons) 숭배를 반대한다고 공식 선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황궁 청동문에 있는 그리스도 초상화를 파괴하도록 명했다. 730년 레온 3세는 성상 숭배 금지 칙령을 발표하고 성상 숭배자들을 박해했다.[158]

이는 종교적, 문화적, 정치적 갈등을 야기했다. 기독교는 본래 오리엔트 종교였으나 그리스화되어 가는 과정에 있었는데, 이 칙령은 소아시아 지역과 일부 성직자, 지식인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고대 그리스 문화 전통이 강한 콘스탄티노폴리스 등 유럽 지역에서는 큰 반발을 샀다.

그레고리오 2세는 레온 3세의 성상 파괴령에 즉각 반발하며, 성상 파괴 교리를 비난하고 교리 문제는 교황의 고유 권한이라고 주장했다. 황제가 교리를 선포하는 행위 자체를 공격하며 황제와 교황 사이의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했다.[158] 교황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보내던 세금 납부를 중지하고, 이탈리아인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여 제국에 대한 반란을 유도했다.

731년 그레고리오 3세는 로마 공의회를 개최하여 성상 파괴주의를 유죄로 선언하고 파문했다. 레온 3세는 함대를 파견하여 교황을 응징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시칠리아, 칼라브리아, 일리리쿰의 교회 재산을 몰수했다.[161]

2. 2. 1. 운동의 시작

726년 시리아 출신의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온 3세는 성상 숭배를 반대한다고 공식 선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황궁 청동문에 있는 그리스도 초상화를 파괴하도록 명했다.[158] 730년 레온 3세는 성상 숭배를 금지하는 공식 칙령(성상금지령)을 발표하고 성상 숭배자들을 박해했다.[158] 이 칙령은 구약성서의 모세의 십계에 나오는 "우상을 만들지 말라"는 구절을 근거로 삼았다.[158]

이 칙령은 제국의 소아시아 지역과 일부 성직자, 지식인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고대 그리스 문화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던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함한 제국의 유럽 지역에서는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23]

2. 2. 2. 서로마 교회의 반발

그레고리오 2세726년 동로마 황제 레온 3세의 성상 파괴령에 즉각 반발했다. 그는 성상 파괴 교리를 비난하고, 교리 문제는 교황의 고유 권한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황제가 교리를 선포하는 행위 자체를 공격하며, 황제와 교황 사이의 근본 문제를 제기했다.[158]

교황은 서로마 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보내던 세금 납부를 중지시켰다. 이는 717년 레온 3세가 이탈리아 내 제국 영지에 중과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반발이기도 했다. 당시 교회는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등지에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고, 교황은 제국 내 최고 토지 소유주였다.[160]

교황은 성상 파괴 문제를 교회 문제가 아닌 이탈리아인 전체의 문제로 만들었다. 교황과 공동의 이해관계로 얽힌 이탈리아인들은 교황의 지휘 아래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레온 3세는 라벤나 총독 등을 동원해 교황을 폐위하려 했고, 라벤나 총독 파울로스는 교황 살해를 시도했다. 그러나 로마 시민들은 랑고바르드 왕국스폴레토베네벤토 공국들과 연합하여 교황을 보호했다.[160]

로마베네치아, 펜타폴리스(시라쿠사) 등에서 황제 반대 시위가 일어났고, 나폴리 공국도 교황을 지지했다. 라벤나에서는 황제파와 교황파 간의 투쟁으로 파울로스 총독이 사망했다.[158] 727년 후반, 새 라벤나 총독 에우티키오스가 나폴리에 도착했으나, 로마에 들어가지 못했다. 『https://maria.catholic.or.kr/sa_ho/list/view.asp?menugubun=saint&ctxtSaintId=2630 테오파네 연대기』는 이러한 일련의 사건이 "로마와 이탈리아 전역을 레온 3세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기록했다.[160]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인들 사이에 민족적 자의식이 싹텄다. 그레고리오 2세는 제국에 대한 반감을 교황에 대한 충성심으로 바꾸었고, 이탈리아인들은 교황을 황제의 압제에 맞서 자유를 수호하는 민족 지도자로 인식하기 시작했다.[161]

731년,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로마 공의회를 개최하여 성상 파괴주의를 유죄로 선언하고, 성상 파괴자들을 파문했다. 그는 이 내용을 서한으로 레온 3세와 그의 아들 콘스탄티노스 5세에게 보냈다.[162]

732년, 레온 3세는 함대를 파견하여 교황을 응징하려 했으나, 함대가 아드리아해에서 난파당했다. 황제는 시칠리아, 칼라브리아, 일리리쿰의 교회 재산을 몰수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로 이전했다.[161]

2. 2. 3. 결과

787년, 레온 4세의 황후 이레네가 주재한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상 공경의 정통성이 재확인되었다.[156] 이후 동로마 제국에서는 815년에 다시 제2차 성상 금지령이 내려져 843년까지 지속되었으나, 소아시아 지역에서도 성상 파괴에 대한 지지가 줄어들어 큰 운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결국 성상 공경이라는 신앙 전통이 부활했다.[156]

성상 파괴 논쟁의 가장 큰 결과는 교회가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으로 분리되어 두 조각이 났다는 것이다.[156] 성상 파괴 논쟁으로 이미 4세기부터 문화적, 정치적으로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던 동로마 제국 황제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그리고 로마 교황의 관계는 결정적으로 악화되었다. 800년에는 로마 교황이 프랑크 왕 카롤루스를 "로마 황제"로 옹립하여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했다.

한편 동로마 제국 내에서는 성상 제작자의 거점이자 대토지 소유자였던 수도원콘스탄티노스 5세 등에 의해 철저하게 탄압받아 수도원 영지가 몰수되고 황제령이 되었다. 이로 인해 황제의 권력 기반이 강화되었고, 고대 로마 제국 후기부터 시작된 황제의 전제 군주화가 완성으로 향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애초에 성상 파괴 운동 자체가 수도원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었을까 하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2. 3. 비잔틴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 (2차)

812년 동로마 제국 황제가 된 레온 5세는 다시 한 번 성상 파괴를 명했다. 이때의 성상 파괴는 레오 3세의 제1차 성상 파괴령과는 달리 매우 현실적인 이유에서 일어났다. 제국에 모처럼 평화가 찾아오자 불만을 품은 전직 군인들과 군대가 불온한 움직임을 보였는데, 이들은 대체로 성상 파괴주의자들이었다.[156]

814년 6월 레온 5세는 특별 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는 6개월간 치밀하고 비밀스러운 연구 끝에 성상 숭배가 근거 없음을 밝혀냈다. 레온 5세는 성상을 옹호하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니케포로스를 불러 성상 숭배의 근거가 없음을 통보하고, 그를 사실상 해임한 후 성상 파괴령을 발동했다. 이로써 제국은 폭동의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두 번째 성상 금지령은 황제의 종교적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어서 그리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156]

2. 4. 종교 개혁 시기의 성상 파괴 운동

종교 개혁 시기, 서유럽에서는 개신교 종교 개혁가들을 중심으로 성상 파괴 운동이 일어났다. 마르틴 루터는 성상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여 교회와 가정에서 특정한 유형의 성화를 허용했지만,[28][29]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 개혁파 (칼뱅주의) 지도자들은 십계명의 우상 숭배 금지를 근거로 종교적 이미지 제거를 장려했다.[29] 그 결과, 개인들이 조각상과 이미지를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1566년 저지대 국가에서 일어난 ''베일덴스토름''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1520년대 초 비텐베르크에서 개혁가 토마스 뮌처와 안드레아스 칼슈타트의 주도로 첫 번째 성상 파괴 물결이 일어났으나, 마르틴 루터가 개입하여 상황을 진정시켰다.[27] 1523년에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울리히 츠빙글리의 주도로 성상 파괴가 일어났는데, 그의 추종자들은 신앙 문제에 있어 세속 당국을 따르지 않는 영적 공동체에 속해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권위에 대한 항의 행위에 대해 츠빙글리는 법과 제약 없이는 사회가 유지될 수 없다는 논문을 발표하며 대응했다.[30]

주요 성상 파괴 폭동은 바젤 (1529년), 취리히 (1523년), 코펜하겐 (1530년), 뮌스터 (1534년), 제네바 (1535년), 아우크스부르크 (1537년), 스코틀랜드 (1559년), 루앙 (1560년), 생트와 라 로셸 (1562년) 등에서 일어났다.[31][32] 칼뱅주의 성상 파괴는 독일에서 루터교 폭도들의 반작용을 유발했고, 발트해 지역에서는 동방 정교회와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했다.[33]

17개 주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북부 일부)는 1566년 여름 광범위한 칼뱅주의 성상 파괴로 인해 혼란에 빠졌다.[34]

  • -]--


영국 종교 개혁 시기에도 헨리 8세의 통치 아래 교회 내 종교적 이미지에 대한 제한적인 조치가 취해졌다. 에드워드 6세는 1547년 즉위 후 종교 개혁 칙령을 발표하고, 국회법을 통해 이미지 폐지를 시행했다.[40] 잉글랜드 내전 동안에는 윌리엄 다우싱이 종교적 이미지 파괴를 주도했다.[41]

프로테스탄트 기독교 내에서도 루터교는 성상의 중요성을 가르치며 화려한 교회 내부와 십자가를 유지했다.[44][28] 루터교 신자들에게 종교 개혁은 이미지 제거보다는 갱신이었다.[45]

3. 이슬람교의 성상 파괴 운동

이슬람교는 우상 숭배를 엄격하게 금지하며, 특히 종교적 인물의 형상 묘사를 금지한다. 수니파 이슬람은 시아파 이슬람보다 이 규칙을 더 엄격하게 지킨다.[54]

무함마드는 메카의 카바 신전에 있던 우상들을 파괴했는데, 이는 이슬람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 무함마드마리아예수의 프레스코화는 남겨두었다는 전통이 전해지지만,[56] 이 사건은 이슬람의 관점에서 자힐리야 시대의 우상 숭배를 끝내는 것을 상징한다.

카바 신전의 우상을 파괴하는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


이슬람 사회는 모스크마드라사와 같은 성스러운 공간에서 동물과 인간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을 피해왔다. 이는 쿠란이 아닌 하디스에 묘사된 전통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지가 세속적인 영역까지 항상 적용된 것은 아니며, 이슬람 미술에는 형상 묘사의 전통이 강하게 나타난다.[55]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야지드 2세는 722~723년에 자신의 영토 내에서 십자가와 기독교 이미지를 파괴하라는 "야지드의 칙령"을 발표했다.[57] 요르단 지역의 일부 교회 모자이크 바닥에서 이미지가 제거된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었지만, 야지드의 정책은 후계자들에 의해 계속되지 않았고, 레반트 지역의 기독교 공동체는 6세기부터 9세기까지 큰 방해 없이 아이콘을 계속 만들었다.[58]

15세기 알-마크리즈는 기자의 대 스핑크스의 코가 없어진 것이 1300년대 중반 수피 무슬림인 무하마드 사임 알-다르의 우상 파괴 행위 때문이라고 기록했다. 그는 지역 무슬림들이 홍수 조절을 위해 스핑크스에 공물을 바치는 것에 분노하여 기물 파손죄로 처형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마크 레너는 고고학적 연구를 통해 기원후 3세기에서 10세기 사이 알려지지 않은 시기에 도구로 인해 코가 부서졌다고 결론내렸다.[60]

2010년, 코가 없는 기자의 대 스핑크스의 옆모습


일부 이슬람 종파는 성상 파괴를 계속하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 당국은 역사적 유적이 "우상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역사적 유적을 파괴해 왔으며, 이는 이슬람 내부에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61][62]

2001년 아프가니스탄탈레반 정부는 바미안 석불을 파괴했다.[63] 이는 국제적인 항의를 불러일으켰으며, 다른 이슬람 정부와 단체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미술 사학자 F. B. 플러드는 탈레반의 석불 관련 발언을 분석한 결과, 파괴 동기가 신학적 문제보다는 정치적 문제에 더 컸다고 주장했다.[55]

2012년 투아레그 반란 동안, 급진 이슬람 민병대 안사르 딘은 말리 팀북투의 15세기와 16세기 수피교 사당을 파괴했다.[64] 2016년, 국제 형사 재판소(ICC)는 안사르 딘의 전 멤버인 아흐마드 알-파키 알-마흐디에게 9년 징역형을 선고했다.[65]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시아파 사원과 사당을 파괴하는 등 성상 파괴 공격을 감행했다. 유누스 (요나) 예언자 사원 폭파[66]모술에 있는 세스의 사당 파괴가 대표적인 사례이다.[67]

4. 한국사에서의 성상 파괴

청동기 시대에 아케나톤이 새로운 수도 아케타톤을 건설하고 아텐 신을 중심으로 한 단일신 숭배를 강조하면서, 아마르나 시대에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한 성상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4][5] 많은 사원과 기념물이 파괴되었고, 아케나톤 사후 그의 공적인 언급은 파괴되었다.[6]

630년 메카에 있는 카바에 보관되어 있던 아라비아 신 조각상들이 파괴되면서 이슬람의 최초 성상 파괴 행위가 시작되었다. 무함마드마리아예수의 프레스코화는 남겼다고 전해진다.[56]

722~723년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 야지드 2세는 칼리파 영토 내의 십자가와 기독교 이미지를 파괴하라는 "야지드의 칙령"을 발표했다.[57] 이 명령은 오늘날의 요르단에서 준수되었음이 밝혀졌으나, 그의 후계자들은 이 정책을 따르지 않았다.[58]

한국사에서는 불교불상불화, 개신교의 성상 등이 숭배 또는 파괴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4. 1. 불교

한국 불교는 불상, 불화 등 성상(聖像)을 숭배 대상으로 삼아왔지만, 역사적으로 성상 파괴 사례도 존재한다. 중국의 경우, 불교 탄압으로 인해 불교 사찰과 조상이 파괴된 사례가 여러 번 있었다. 특히 당나라의 대불교 탄압이 대표적이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에도 종교적, 세속적 조상 파괴가 광범위하게 일어났다. 1926년 북벌 기간에는 중국 국민당 장군 바이충시가 군대를 이끌고 불교 사찰을 파괴하고 불상을 부수었으며, 사찰을 학교와 당 본부로 만들었다.[100] 광시의 거의 모든 비하라가 파괴되고 승려들이 쫓겨났다.[101] 티베트에서도 중국의 침략과 점령 이후 종교적, 세속적 조상 파괴가 광범위하게 일어났다.[103]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에도 종교적, 세속적 조상을 포함한 역사적 예술 작품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다.

4. 1. 1.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

조선 왕조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아 불교를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불상과 불교 사찰이 파괴되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종교적 신념의 차이뿐만 아니라, 불교 세력의 약화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는 정치적 목적도 내포하고 있었다.[100][101][102]

4. 1. 2. 근현대 시기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불교계 내부에서도 개혁 운동이 일어났고, 일부에서는 전통적인 불상 대신 불경이나 불탑을 숭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1990년대 이후, 일부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에 의한 불상 훼손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 논란이 되기도 했다.[104] 이들은 불상을 우상으로 간주하여 공격하고, 머리를 자르는 등의 행위를 저질렀다. 이러한 사건들은 방화와 함께 은밀하게 이루어져 가해자를 체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4. 2. 개신교

이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개신교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문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 개신교는 대체로 성상 숭배를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교회 내에 성화나 조각상을 두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우상숭배를 금지하는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것이지만, 다른 종교의 성상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5. 정치적 목적의 성상 파괴

정치적 목적의 성상 파괴는 권력 교체나 체제 변혁기에 이전 체제의 상징물을 파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세인트헬렌 문 - 몰타 코스피쿠아에 있으며, 프랑스령 몰타 점령 기간 동안 대리석 문장이 훼손되었다.


윌리엄 3세 동상. 과거 더블린 콜리지 그린에 있었으며, 1701년에 세워졌으나 아일랜드 독립 후인 1929년에 파괴되었다. 영국의 아일랜드 지배 기간 동안 설치되었던 여러 기념물 중 하나였다.


미국 해병대가 2003년 4월 9일 이라크 바그다드의 피르도스 광장에서 사담 후세인의 조각상을 파괴하는 모습.


1931년 12월 5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의 파괴


자유의 아들들이 1776년 볼링 그린에서 조지 3세의 동상을 끌어내리고 있다.

  • 몰타에서는 과거 통치자들의 상징을 제거한 사례가 여러 건 있었다. 1798년에서 1800년 사이 프랑스령 몰타 점령 기간 동안 성 요한 기사단 문장이 훼손되었고, 일부는 19세기 초 영국 문장으로 대체되었다.[119] 1974년 몰타가 공화국이 된 후에도 영국 상징 일부가 제거되었다.[120] 메인 가드 건물과 같은 영국 문장은 일시적으로 가려졌다.[121]
  • 오스만 제국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오스만 육군은 예실쾨이에 세워진 러시아 승리 기념비를 파괴했다. 이 장면은 푸아트 우즈키나이가 촬영했으며, 터키에서 제작된 가장 오래된 영화인 ''아야스테파노스의 러시아 기념비 파괴''가 제작되었다.
  •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당시 상퀼로트브뤼셀그랑플라스를 약탈하여 귀족 조각상과 기독교 상징을 파괴했다. 1911년에는 스페인 자유사상가 프란시스코 페레르 기념비가 세워졌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를 점령한 독일 제국 군대가 1915년에 파괴했다가 1926년에 복원되었다.[122]
  • 1942년, 친나치 비시 프랑스 정부는 16세기 반체제 지식인 미하엘 세르베투스의 조각상을 철거하고 녹였다. 장 칼뱅의 사주로 제네바에서 화형에 처해진 세르베투스를 기념하는 이 조각상은 양심의 자유를 상징했기에 비시 당국에 의해 제거되었다. 1960년 아네마스 시는 조각상을 다시 주조하여 이전 장소로 돌려놓았다.[123]
  • 스페인 빌바오 시청에 설치되었던 미겔 데 우나무노 두상 조각은 스페인 내전 동안 빌바오 강어귀에 던져졌다가 회수되어 1984년 우나무노 광장에 설치되었다. 1999년 에스칼 에르리타르로크의 정치 회의 이후 다시 강어귀에 던져졌고, 2000년에 복제품으로 대체되었다.[124][125][126]
  • 바그다드 전투와 사담 후세인 정권은 2003년 4월 9일, 미국의 군사적 연출로 이루어진 피르도스 광장 조각상 파괴로 상징적으로 종결되었다. 이라크 전역의 사담 후세인 동상과 벽화는 미군 점령군과 이라크 시민들에 의해 파괴되었다.[127]
  • 201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대학교의 그림들이 학생 시위에서 식민주의의 상징으로 불태워졌다.[128]
  • 2019년 11월,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의 즐라탄 동상이 함마르비 포트볼의 공동 소유주가 된 사실을 발표한 후 말뫼 FF 서포터들에 의해 훼손되었다. 동상에 흰색 페인트가 뿌려졌고, 위협과 혐오 메시지가 쓰여졌으며 불태워졌다.[129][130] 코가 잘려나가고 크롬 페인트가 뿌려졌으며,[131] 2020년 1월 5일, 마침내 동상이 쓰러졌다.[132]
  • 2020년 6월 7일, 조지 플로이드 시위 동안, 영국 브리스톨에 있는 에드워드 콜스턴 동상이 시위대에 의해 끌어내려졌다.[135] 시위대는 동상에 빨간색과 파란색 페인트를 칠하고, 동상의 목에 무릎을 꿇는 행위를 통해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연상시켰다.[133][134] 동상은 브리스톨 항구로 밀려 들어갔다.[135][136][137]
  • 10월 혁명 동안과 그 이후, 러시아에서는 종교적 및 세속적 이미지와 로마노프 왕조 관련 이미지가 파괴되었다. 알렉산드르 3세 동상이 파괴되었고, 러시아 제국 전역의 제국 독수리가 파괴되었다.[138] 소련러시아 정교회 교회와 유대인 묘지를 포함한 종교 시설을 파괴했다.
  • 1956년 헝가리 혁명1989년 혁명 동안, 시위대는 부다페스트의 스탈린 기념비와 같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조각상과 이미지를 공격하고 철거했다.[139]
  • 1989년부터 1991년까지 공산주의 몰락 이후, 옛 소련과 동구권 국가에서 블라디미르 레닌과 다른 공산주의 지도자들의 동상이 파괴되거나 철거되었다. 철의 펠릭스와 바르샤바 광장에 있던 제르진스키 동상이 파괴되었다.
  •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자유의 아들들은 볼링 그린에 있던 조지 3세금박 납 동상을 파괴하고 녹여 탄약으로 다시 주조했다.[140][141][142]
  • 2017년 8월,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 카운티 법원 앞에서 회색 옷을 입은 소년들에게 헌정된 남부 연합 군인의 동상이 시위대에 의해 받침대에서 끌어내려졌다. 이는 2017년 유나이트 더 라이트 집회에서 일어난 사건에 따른 남부 연합 기념물 및 기념물 철거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143][144][145][146]

5. 1. 고대 로마의 '기억말살형'

고대 로마에서는 정치적 숙청의 일환으로 특정 인물의 기록과 기념물을 파괴하는 '기억말살형'(Damnatio memoriae|담나티오 메모리아이la)이 시행되었다.[106] 이는 반란이나 정권 교체 시 이전 정권과 관련된 동상 및 기념물을 파괴하는 행위와 유사하다. 세야누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도미티아누스 등이 기억말살형의 대상이 된 대표적인 로마 황제 및 정치인들이다.[106] 도미티아누스나 코모두스와 같이 자신의 동상을 많이 세운 황제들도 있었으나, 이들이 전복되었을 때 동상은 파괴되었다.[106]

학자들은 기억말살형이 단순한 기억 삭제가 아니라, "역사적 흔적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기록을 '모욕'하고 간접적으로 기억을 확인하는 제스처"[106]를 만드는 것이며, "판토마임 잊음"의 화려한 전시였다고 주장한다.[107]

5. 2.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의 급진적인 시기 동안, 정부 관계자들과 시민들의 지지를 받아 구체제(앙시앵 레짐)의 기억을 근절하려는 시도로 수많은 기념물, 종교 작품 및 기타 역사적으로 중요한 작품들이 파괴되었다. 파리 광장의 루이 15세 동상이 끌어내려져 파괴되었고, 같은 장소에서 그의 후계자 루이 16세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 장소는 "Place de la Révolution"(현재 콩코르드 광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11] 그해 말, 많은 프랑스 왕들의 시신이 생드니 대성당에서 발굴되어 공동 묘지에 버려졌다.[112]

몇몇 성상 파괴 사건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행위로 이루어졌는데, 여기에는 파리에서 일어난 1792년 8월 10일 봉기 동안 왕들의 동상 파괴가 포함되었다.[113] 어떤 사건들은 공화정 정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승인되었으며, 생드니 발굴이 그 예이다.[112]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화정 정부는 역사적인 예술 작품을 보존하기 위한 조치도 취했으며,[114] 특히 이전 왕실 예술품 컬렉션을 보관하고 전시하기 위해 루브르 박물관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물리적인 물건과 국가 유산을 보존하면서 군주제와의 연관성을 제거할 수 있었다.[115][116][117] 알렉상드르 르누아르는 많은 왕실 기념물을 박물관에 보관하여 보존했다.[118]

파리 방돔 광장 기둥에 있는 나폴레옹 1세의 동상 또한 여러 차례 성상 파괴의 대상이 되었다. 프랑스 부르봉 왕정복고 이후 파괴되었고, 루이 필리프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파리 코뮌 동안 파괴되었고, 아돌프 티에르에 의해 다시 복원되었다.

5. 3. 한국 근현대사

일제강점기에는 일제가 한국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문화재를 훼손하거나 반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해방 이후에는 좌우 이념 대립 과정에서 서로의 상징물을 파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독재 정권 시기에는 권위주의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민주화 운동 관련 기념물을 훼손하는 사례도 있었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특정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면서 관련 기념물을 철거하거나 이전해야 한다는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6. 결론

기독교의 대표적인 성상 파괴 운동으로는 동로마 제국에서 일어난 성상 파괴 운동과 종교 개혁 시기 서유럽에서 발생한 비덴스투름(그림 폭풍)이 있다.[155]

비잔틴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은 8세기부터 9세기에 걸쳐 동방 교회에서 황제의 명령으로 성상(이콘) 숭배가 금지되고 성상이 파괴된 사건을 말한다.[156] 이는 비잔틴 제국 내부의 분열을 야기했을 뿐만 아니라, 서방의 로마 교회(이후 가톨릭교회)의 비판을 받아 '''성상 파괴 논쟁'''으로 이어졌다.

결국 성상 파괴 운동은 제7차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결정되었고, 비잔틴 제국 지역에서도 이콘 숭배가 다시 허용되었다. 오늘날 정교회에서는 이콘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성상 파괴 운동 시기에 재확인되고 강화된 신학적 정통성에 기반한다.

참조

[1] 문서 From {{langx|grc|[[wikt:εἰκών|εἰκών]] + [[wikt:κλάω|κλάω]]|lit=image-breaking}}. ''Iconoclasm'' may also be considered as a [[back-formation]] from ''iconoclast'' (Greek: εἰκοκλάστης). The corresponding Greek word for iconoclasm is εἰκονοκλασία, ''eikonoklasia''.
[2] 문서 "Iconoclast, 2," ''[[Oxford English Dictionary]]''; see also "Iconoclasm" and "Iconoclastic."
[3] 웹사이트 icono-, comb. form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8
[4] 서적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Volume 1 Sage Publications 2006
[5] Encyclopedia Akhenaten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020-06-20
[6] 서적 From Akhenaten to Moses: Ancient Egypt and Religious Chang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4
[7] Bible Bible
[8] 웹사이트 2 Kings 21 / Hebrew–English Bible / Mechon-Mamre https://mechon-mamre[...] 2022-02-21
[9] Citation Elvira canons http://faculty.cua.e[...] Cua
[10] Citation The Catholic Encyclopedia
[11] 간행물 Aniconic Worship and the Apologetic Tradition: A Note on Canon 36 of the Council of Elvira http://dx.doi.org/10[...] 1976-12-01
[12] 웹사이트 The Council of Elvira, ca. 306 http://faculty.cua.e[...] 2023-04-17
[13] 서적 Images, Idolatry, and Iconoclasm in Late Medieval England: Textuality and the Visual Image https://books.google[...] OUP Oxford
[14] 서적 Understanding Early Christian Ar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간행물 Overview on Iconophile and Iconoclastic Attitudes toward Images in Early Christianity and Late Antiquity https://www.academia[...] 2013-11-25
[16] 서적 The Iconoclastic Imagination: Image, Catastrophe, and Economy in America from the Kennedy Assassination to September 1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
[17] 서적 A Companion to Byzantine Iconoclasm https://books.google[...] Brill 2021
[18] 문서 Kitzinger, 92–93, 92 quoted
[19] 웹사이트 Byzantine iconoclasm http://www.usu.edu/m[...] 2013-04-30
[20] 서적 Writing in Gold, Byzantine Society and its Icons George Philip 1985
[21] 서적 "Historical Introduction." pp. 2–3 in ''Iconoclasm'', edited by Bryer & Herrin Centre for Byzantine Studies, [[University of Birmingham]] 1977
[22]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2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4] 서적 The Rise of the Global South: The Decline of Western Christendom and the Rise of Majority Worl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2
[25] 서적 Reformation and the Visual Arts: The Protestant Image Question in Western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3rd edi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History of Protestant Theology https://books.google[...] 1871
[28] 서적 Encyclopedia of Martin Luther and the Reform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9] 서적 Pentecostal Aesthetics: Theological Reflections in a Pentecostal Philosophy of Art and Esthetics [[Brill Academic Publishers]]
[30] 서적 The Long European Reformation: Religion, Political Conflict, and the Search for Conformity, 1350–1750 [[Palgrave Macmillan]] 2004
[31] 서적 Neil Kamil, ''Fortress of the soul: violence, metaphysics, and material life'', p. 148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5
[32] 서적 Voracious Idols and Violent Hands https://archive.org/[...]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33] 서적 The Reform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10-22
[34]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A Concise History of Western Art Cengage Learning
[35] 서적 The Victory of Reason: How Christianity Led to Freedom, Capitalism, and Western Success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36] 서적 A Century of Giants, A.D. 1500 to 1600: In an Age of Spiritual Genius, Western Christendom Shatters Christian History Project
[37] 서적 The King's Bedpost: Reformation and Iconography in a Tudor Group Portrai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Edward VI Yale University Press
[39] 서적 Dynasties: Painting in Tudor and Jacobean England 1530–1630 https://archive.org/[...] Rizzoli
[40] 서적 Reformation in Britain and Irela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The Journal of William Dowsing, Parliamentary Visitor https://suffolkinsti[...] 1886
[42] 서적 Kaleidoscope Catechesis: Missionary Catechesis in Africa, Particularly in the Diocese of Wa in Ghana Peter Lang
[43] 서적 Lucas Cranach the Elder: Art and Devotion of the German Reform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4] 서적 Lutheran Churches in Early Modern Europe Taylor & Francis
[45] 서적 Contesting the Reformation John Wiley & Sons
[46] 문서 Art in Worship https://blc.edu/comm[...] Lutheran Liturgical Association
[47] 서적 The Ottoman State and Its Place in World History: Introduction Brill
[48] 서적 Muslims and the Gospel: Bridging the Gap : a Reflection on Christian Sharing https://books.google[...] Kirk House Publishers
[49] 서적 A New and Authentic History of the Rosicrucians Kessinger Publishing
[50] 간행물 The Many Meanings of Iconoclasm: Warrior and Christian Temple-Shrine Destruction in Late Sixteenth Century Japan 2020
[51] 서적 Island at the end of the world: The turbulent history of Easter Island Reaktion
[52] 웹사이트 New view of Polynesian conversion to Christianity https://www.wgtn.ac.[...] 2014-04-04
[53] 웹사이트 Hetzendorf and the Iconoclasm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http://sthughofcluny[...] The Society of St. Hugh of Cluny 2013-04-30
[54] 문서 Islam, Judeo-Christianity and Byzantine Iconoclasm https://www.hs.ias.e[...] Ashgate Publishing
[55] 간행물 Between cult and culture: Bamiyan, Islamic iconoclasm, and the museum
[56] 서적 The Life of Muhammad. A translation of Ishaq's "Sirat Rasul Alla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2-08
[57] 서적 L'iconoclasme byzantin: le dossier archéologique https://books.google[...] Flammarion
[58] 간행물 Islam, iconoclasm, and the declaration of doctrine
[59]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the Sphinx's nose?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Institution 2009-12-08
[60] 서적 Sphinx : history of a monument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61] 뉴스 Independent Newspaper on-line, London, Jan 19, 2007 http://news.independ[...] News.independent.co.uk 2005-08-06
[62] 잡지 The Destruction of Holy Sites in Mecca and Medina http://www.islamicam[...] 2020-11-21
[63] 웹사이트 Afghan Taliban leader orders destruction of ancient statues http://www.rawa.org/[...] Rawa.org 2013-04-30
[64] 잡지 Timbuktu's Destruction: Why Islamists Are Wrecking Mali's Cultural Heritage https://world.time.c[...] 2012-07-10
[65] 웹사이트 Nine Years for the Cultural Destruction of Timbuktu https://www.theatlan[...] 2017-10-21
[66] 뉴스 Iraq jihadists blow up 'Jonah's tomb' in Mosul https://www.telegrap[...] 2014-07-25
[67] 뉴스 ISIS destroys Prophet Sheth shrine in Mosul http://www.english.a[...] Al Arabiya News 2016-09-04
[68] 잡지 Temple desecration in pre-modern India https://frontline.th[...] The Hindu Group 2000-12-09
[69] 서적 Temple desecration and Muslim states in medieval India Hope India Publications 2004
[70] 문서 The Chachnamah, An Ancient History of Sind, Giving the Hindu period down to the Arab Conquest http://persian.packh[...]
[71] 서적 Sindhi Culture Univ. of Bombay Publications
[72] 간행물 Temple desecration and Indo-Muslim states http://www.columbia.[...] The Hindu Group 2001-01-05
[73] 서적 Hindu culture during and after Muslim rule: survival and subsequent challenges https://books.google[...] M.D. Publications Pvt. Ltd.
[74] 서적 The Hindu nationalist movement and Indian politics: 1925 to the 1990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75] 논문 Temple Desecration and Indo-Muslim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09-01
[76] 서적 India Handbook https://books.google[...] McGraw-Hill
[77] 웹사이트 Gujarat State Portal | All About Gujarat | Gujarat Tourism | Religious Places | Somnath Temple http://www.gujaratin[...] Gujaratindia.com 2013-04-30
[78] 서적 Somanatha: The Many Voices of a History https://books.google[...] Verso
[79] 서적 Shaping of Modern Gujarat Penguin UK
[80] 웹사이트 Leaves from the past http://www.indiafirs[...]
[81] 서적 Somanatha: The Many Voices of a History Penguin Books India
[82] 서적 The Shade of Swords: Jihad and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Roli Books
[83] 웹사이트 Somnath Temple http://www.bl.uk/onl[...] British Library
[84] 웹사이트 Qutb Minar and its Monuments, Delhi https://whc.unesco.o[...]
[85] 논문 The Tughluqs: Master Builders of the Delhi Sultanate 1983
[86] 웹사이트 Indian routes: Some memorable ventures, adventures, and other happenings, in and about south Asia: 1200–1299 http://www.columbia.[...]
[87] 서적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88] 서적 The Puffin History of India for Children, 3000 BC – AD 1947 Penguin Books
[89]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Brill
[90] 서적 Tārīkh-i-Firishta
[91] 서적 The Muhammadan Period Trubner & Co.
[92] 서적 Konark Oxford University Press
[93] 서적 Brownstudy on heathenland: A book on Indolog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94] 논문 Aurangzeb as Iconoclast? Vaishnava Accounts of the Krishna images' Exodus from Braj https://www.cambridg[...] 2018
[95] 서적 Parish Churches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6] 서적 The Portuguese in Goa, in Acompanhando a Lusofonia em Goa: Preocupações e experiências pessoais http://recil.grupolu[...] Lisbon: Grupo Lusofona
[97] 서적 Some years travels into divers parts of Africa, and Asia the Great https://archive.org/[...] London : R. Everingham for R. Scot, etc.
[98] 보고서 India politics by other means: Attacks Against Christians in Indi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9-10
[99] 뉴스 Tearing down the Babri Masjid http://news.bbc.co.u[...] 2002-12-05
[100] 서적 Region and nation: the Kwangsi clique in Chinese politics, 1925–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101] 서적 Toward a modern Chinese Buddhism: Taixu's refor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0-06-28
[102] 서적 Region and nation: the Kwangsi clique in Chinese politics, 1925–193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8
[103] 서적 The Changing World Religion Map Springer, Dordrecht 2015
[104] 논문 Korean Temple Burnings and Vandalism: The Response of the Society for Buddhist-Christian Studies 2000
[105] 문서 The Civilization of Angkor
[106] 서적 History and Silence: Purge and Rehabilitation of Memory in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Texas Press
[107] 서적 Statues in Roman Society: Representation and Response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Remembering the Year of the French: Irish Folk History and Social Memo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09] 서적 Forgetful Remembrance: Social Forgetting and Vernacular Historiography of a Rebellion in Ulster Oxford University Press
[110] 간행물 When Monuments Fall: The Significance of Decommemorating
[111] 간행물 Iconoclasm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112] 웹사이트 The Revolutionary Exhumations at St-Denis, 1793 http://mavcor.yale.e[...] Yale University 2014-10-18
[113] 간행물 The Creation, Destruction and Recreation of Henri IV: Seeing Popular Sovereignty in the Statue of a King 2012
[114] 서적 From Royal to National: The Louvre Museum and the Bibliothèque Nationale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15] 간행물 Of Other Spaces https://foucault.inf[...]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6] 문서 Iconoclasm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954
[117] 문서 A Thousand Plateau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7
[118] 문서 Alexandre Lenoir and the Musée des monuments français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French Historical Studies 1981
[119] 웹사이트 Art and Architecture in Malta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http://melitensiawth[...] Melitensia Historica 1982
[120] 뉴스 Letter boxes: The red heart of the British streetscape https://www.bbc.com/[...] 2013-01-18
[121] 뉴스 Mysteries of the Main Guard inscription https://www.timesofm[...] 2018-01-14
[122] 서적 The Martyrdom of Ferr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123] 서적 Out of the Flames: The Remarkable Story of a Fearless Scholar, a Fatal Heresy, and One of the Rarest Books in the World Broadway
[124] 뉴스 El Ayuntamiento de Bilbao restituye a su columna el busto de Unamuno nueve meses después de su robo https://elpais.com/d[...] 2022-11-14
[125] 뉴스 La cabeza perdida de don Miguel https://elpais.com/d[...] 2022-11-14
[126] 웹사이트 Victorio Macho y Unamuno: notas para un centenario https://www.realfund[...] Real Fundación Toledo 2022-11-14
[127] 문서 Toppled Post Editions 2010
[128] 뉴스 Protesting UCT Students Burn Historic Paintings, Refuse To Leave http://ewn.co.za/201[...] Eyewitness News 2016-02-16
[129] 뉴스 Zlatan Ibrahimovic statue: Vandals try to saw through feet https://www.bbc.com/[...] 2019-12-23
[130] 웹사이트 Zlatan Ibrahimovic's Malmo Statue Set on Fire After Becoming Hammarby Part Owner https://bleacherrepo[...] 2019-12-23
[131] 뉴스 Zlatans staty vandaliserad igen – näsan avsågad https://www.svt.se/n[...] 2019-12-22
[132] 뉴스 Zlatanstatyn vandaliserad igen – avsågad vid fötterna https://www.svt.se/n[...] 2020-01-05
[133] 뉴스 Protesters in England topple statue of slave trader Edward Colston into harbor https://www.cbsnews.[...] 2020-06-08
[134] 뉴스 UK slave trader's statue toppled in anti-racism protests https://www.thejakar[...] 2020-06-08
[135] 뉴스 BLM protesters topple statue of Bristol slave trader Edward Colston https://www.theguard[...] 2020-06-07
[136] 뉴스 George Floyd death: Protesters tear down slave trader statue https://www.bbc.co.u[...] 2020-06-07
[137] 뉴스 Black Lives Matter protesters pull down statue of 17th century UK slave trader https://www.independ[...] 2020-06-07
[138] 웹사이트 The Hammer and Sickle: The Role of Symbolism and Rituals in the Russian Revolution http://www.westminst[...]
[139] 뉴스 Ukraine says blowing up Stalin statue was terrorism https://www.reuters.[...] 2011-04-09
[140] 문서 The Destruction of the Royal Statue at New York on July 9, 1776 https://www.metmuseu[...]
[141] 웹사이트 A Toppled Statue of George III Illuminates the Ongoing Debate Over America’s Monuments https://www.smithson[...]
[142] 웹사이트 Pulling down statues? It’s a tradition that dates back to U.S. independence https://www.national[...]
[143] 뉴스 SEE IT: Crowd pulls down Confederate statue in North Carolina http://www.nydailyne[...] 2017-08-15
[144] 뉴스 Deadly rally accelerates ongoing removal of Confederate statues across U.S. http://www.chicagotr[...] 2017-08-15
[145] 뉴스 War over Confederate statues reveals simple thinking on all sides http://www.nydailyne[...] 2017-08-28
[146] 웹사이트 Protesters pull down Confederate statue in North Carolina http://www.cnn.com/2[...] 2017-08-15
[147] 뉴스 Crew heard cheers as Confederate general's statue toppled in Monroe Park https://www.wtvr.com[...] 2020-06-07
[148] 간행물 Photos: The Statues Brought Down Since the George Floyd Protests Began https://www.theatlan[...] 2020-07-29
[149] 뉴스 These confederate statues have been removed since George Floyd's death https://www.cnn.com/[...] 2020-06-11
[150] 웹사이트 San Francisco Archbishop Outraged Over Toppling Of Golden Gate Park Junipero Serra Statue https://sanfrancisco[...] 2020-07-29
[151] 뉴스 Robert E. Lee statue is removed in Richmond, ex-capital of Confederacy, after months of protests and legal resistance https://www.washingt[...] 2021-09-08
[152] 웹사이트 Statues of Christopher Columbus are being dismounted across the country https://www.cnn.com/[...] 2020-06-11
[153] 웹사이트 Protesters tore down a George Washington statue and set a fire on its head https://edition.cnn.[...] 2022-03-20
[154] 웹사이트 Iconoclast Definition & Meaning https://www.merriam-[...]
[15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Iconoclasm http://www.newadvent[...]
[156] 서적 欲望の美術史 光文社
[157] 서적 비잔티움 미술의 이해 2016-02-29
[158] 논문 8세기 중엽 교황의 리더십 2009
[159] 문서
[160] 논문 8세기 중엽 교황의 리더십 2009
[161] 논문 8세기 중엽 교황의 리더십 2009
[162] 논문 8세기 중엽 교황의 리더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